Kotlin57 코틀린의 배열/리스트 # 코틀린의 배열 만들기 1. val 변수명 = arrayOf("이름 1","이름 2","이름 3") - 여기서 숫자로 자료형을 하고 싶다면 : val 변수명 = intArrayof(1,2,3) 이런 식으로 쓰면 된다 2. val 변수명 = Array(배열의 개수, 어떤 식으로 초기화할 거냐(람다식)) 3. val 변수명 = arrayOfNull(크기) - 각각의 칸에는 Null 값이 들어감 4. val 변수명 = emptyArray() - 비어있는 배열 만들기 ex) 1. val name = arrayOf("홍길동","가나다","사랑해") 2. val name2 = Array(3, {index -> "홍길동${index+1}"}) 3. val name3 = arrayOfNull(3) 4. val nam.. 2021. 12. 15. 코틀린의 기본 문법 2(함수,람다,When,생성자) # Kotlin의 함수 함수는 상자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Kotlin의 함수는 fun으로 시작하고 함수 이름과 소괄호, 중괄호를 붙인다 함수를 만드는 이유는 코드를 여러 번 반복하게 될 때 만들어 놓고 실행만 시키면 시간 단축이 되어서이다 함수 이름 뒤 소괄호 안에는 여러 개의 파라미터가 들어간다 파라미터의 기본 모양은 파라미터 이름 : 파라미터의 자료형이다 Ex) fun add (a:Int, b:Int) { } 그리고 함수를 축약도 할 수 있다. 파라미터가 정확하게 몇 개가 들어올지 모를 때는 파라미터 앞에다가 vararg를 붙여준다. Ex) fun add(varary a:Int){ } class MainActivity : AppCompatActivity() { override fun onCreate.. 2021. 12. 15. 코틀린의 기본 문법(Toast,변수선언,출력,Null,형 변환) # 버튼을 클릭했을 시 Toast 메시지 띄우기 화면에 잠깐 나타났다가 없어지는 text를 띄우는 코드는 Toast.makeText(applicationContext,"입력할text",Toast.LENGTH_LONG).show() 이렇게 사용한다 만약 메시지를 짧게 띄우고 싶으면 LENGTH_LONG 부문을 LENGTH_SHORT으로 바꿔준다 ※코틀린에서는 ";"를 끝에 안 붙여도 실행이 가능하다 button.setOnClickListener { Toast.makeText(applicationContext,"입력할 text",Toast.LENGTH_LONG).show() //메시지를 길게 Toast.makeText(applicationContext,"입력할 text",Toast.LENGTH_SHORT)... 2021. 12. 15. 이전 1 ··· 7 8 9 10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