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103 [JPA] JPA의 Hibernate ddl-auto 속성 정리 이번 포스팅은 요즘 공부하고 있는 스프링부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JPA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 Hibernate의 ddl-auto 속성에 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다. # Hibernate ddl-auto란?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속성이다. # 속성 - none: 엔티티 클래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생성하지 않는다. - create: 엔티티 클래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생성한다. - create-drop: 엔티티 클래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 스키마를 삭제한다. - update: 엔티티 클래스 변경 사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. - validate:.. 2024. 2. 13. [책 리뷰] 요즘 개발자 - 한빛미디어 / 임동준, 고예슬 # 한 줄 소개 이 책은 단순히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, 개발자로서의 삶과 커리어, 그리고 미래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. # 추천하는 대상 - 개발자로서 성장하고 싶은 사람: 이 책은 초보 개발자부터 경력 개발자까지 모두에게 유용한 조언과 정보를 제공한다. - 개발자로서의 삶과 커리어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: 이 책은 개발자로서의 가치, 삶의 방향, 그리고 미래에 대한 힌트를 제공한다. - 개발자를 더 잘 이해하고 싶은 사람: 이 책은 개발자의 생각과 감정, 그리고 그들의 일에 대한 열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. # 책을 읽고 얻을 수 있는 것 - 개발자로서의 성장: 이 책은 개발자로서의 기술적인 역량뿐만 아니라, 문제 해결 능력, 커뮤니케이션 능력, 그리고 리더십 등 다양한 .. 2024. 2. 12. [디자인패턴 - 전략패턴] 전략패턴이란? 예제를 통해 이해하기 (Strategy Pattern) for Head First Design Patterns (헤드퍼스트 디자인 패턴 참조) 이번 포스팅을 시작하기 앞서 개념과 포스팅의 전체적인 내용은 한빛미디어 / 에릭 프리먼 , 엘리자베스 롭슨 / 헤드 퍼스트 디자인 패턴(개정판)을 참조했음을 밝히고 시작하겠다. # 전략패턴(Strategy Pattern)이란? 전략 패턴 ( Strategy Pattern ) 은 알고리즘 군을 정의하고 캡슐화해 서 각각 의 알고리즘 군을 수정해서 쓸 수 있게 해 줍니다. 전략 패턴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알고리즘을 분리해서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 위에서 나오는 말은 책에서 가져온 전략패턴의 사전적 정의이다. 나는 처음에 저런 말을 듣고 전혀 이해가 가지 않았다. 그러므로 디자인패턴을 전혀 모른 상태에서 저 내용이 이해가 안 가는 건 정상이니 너무 걱정 안 해도 될 것이다. 이제 아래에서 예제를.. 2024. 1. 31. [Android-Compose] 안드로이드 컴포즈 애니메이션 예제와 함께 알아보기!(animateColorAsState, AnimatedVisibility, fadeIn, fadeOut ) 이번 공부 포스팅은 컴포즈 애니메이션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다. # animateColorAsState 우선 이 컴포저블 함수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Color에 관련한 애니메이션 함수이다. 인자로는 targetValue, animationSpec, label, finishedListener 4가지가 들어가야 한다. 그중 우리가 여기서 볼 거는 targetValue이다 이 인자에는 바꾸고 싶은 색상을 넣으면 된다. 나머지 인자들은 옵션이기 때문에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따로 검색을 하는 걸 추천한다. 반환은 State 로 되기 때문에 by를 통해 값을 받아오는 게 깔끔하고 좋다 아래는 animateColorAsState의 유무의 차이이다. 사람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작은 디.. 2024. 1. 12. [Git - 오류] Fetch, Pull / remote: Repository not found 이번 오류 포스팅은 git에서 Repository를 못 찾는 이슈 해결방법을 포스팅해 보겠다. # 오류 발단 얼마 전 회사 프로젝트를 하다가 커밋, 푸시, PR다 되었는데 이상하게도 Fetch, Pull을 하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을 했다. remote: Repository not found #오류 원인 그래서 나는 구글링을 해보았고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지만 역시 스택오버플로우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다! 원인은 이미 컴퓨터에 깃허브와 관련된 자격 증명이 다른 사람의 깃허브 계정으로 등록되어 있던 게 원인이었다. #해결 방법 1. 시작 메뉴에서 제어판을 연다. 2. 사용자 계정을 클릭 3. 자격 증명 관리자 - Windows 자격 증명 관리 클릭 4. 일반 자격 증명 - git으로 시작되는 자격 증명.. 2023. 12. 27. [Android] 안드로이드 인앱결제 관련 이론 정리 이번 포스팅을 해볼것은 안드로이드 앱내에 인앱결제 관련해서 이론적으로 정리해보겠다. ※ 본 포스팅의 참고 문서는 최신 문서가 아닌 예전 문서를 바탕으로 작성 된 것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:)# 인앱결제의 종류## 1. 일회성 제품 - 일회성 제품은 사용자가 결제 방법으로 반복되지 않는 단일 요금을 지급함으로써 구매할 수 있는 컨텐츠. Google Play 결제 라이브러리에서는 정기 결제를 "INAPP"이라고 칭한다. 일회성 제품은 아래 두가지 종류로 나뉜다.👉 소비성 제품 : 소비성 제품은 사용자가 게임 내 컨텐츠를 받기 위해 소비하는 제품. ex) 게임 머니 👉 비소비성 제품 : 비소비성 제품은 한 번 구매하면 영구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제품 ex) 프리미엄 업그레이드## 2. 정.. 2023. 12. 1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··· 18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