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03

[오류] 안드로이드 Google 애널리틱스 이벤트 로깅이 안되는 이슈 해결방법 (Android Google Analytics Event Logging) 이번 오류 포스팅은 안드로이드 Google 애널리틱스 이벤트 로깅이 안 잡히는 이슈 해결방법을 포스팅해보겠다. 물론 다른 경우에 따라 이 해결방법이 아닐 수도 있지만 나에 경우는 이 오류였기 때문에 혹시나 나랑 같은 분이 계실까 봐 공유를 한다. # 오류 발단 우선 나의 경우는 바텀내비게이션에 특정 탭을 누르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로직을 구현하였다. 그래서 이벤트 명을 click_therapist_home_healclass_navigation으로 설정을 하였고 전달해 주는 매개 변수는 없었다. # 오류 원인 바로 본론으로 오류의 원인으로 말하면 위에 이벤트명이 너무 길었던 게 오류의 원인이었다. 이 오류를 어떻게 알게 되었냐면 처음에는 코드에 문제가 있는지 코드를 수정해도 봤는데 아무리 해도 달라지지 않.. 2023. 11. 10.
[Android] 안드로이드 앱 아이콘 바꾸기, 앱 아이콘 이미지 적용법(런처 아이콘 변경) - App Icon Change ※이번에 공부해볼 내용은 간단한? 내용을 공부해 볼 것이다. 사이드프로젝트를 하는 도중 안드로이드 아이콘을 기본 아이콘에서 디자이너 분이 준 아이콘을 적용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. 예전에 어렴풋이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바꾼 기억은 있지만 자세하게 생각나지 않았다. 그래서 기억을 하기 위해 이번 포스팅을 작성해보는 것이다. 들어가기 앞서 본 내용에 대한 안드로이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나온 코드랩이 있으므로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해서 한번 해봐도 좋을것이다. # 앱 아이콘 위치 변경하기 전 그래도 앱 아이콘의 위치는 알고 가는 게 좋아서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사진으로 설명해 보겠다. 이게 귀찮으면 두 번째 챕터인 방법으로 바로 넘어가도 좋다. 위 사진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왼쪽에 보면 디렉터리 구조를 .. 2023. 11. 6.
[Android-Kotlin] Groovy DSL -> Kotlin DSL Migration(코틀린 DSL로 의존성 관리 마이그레이션), Kotlin DSL이란? 이번에 공부해볼 내용은 Kotlin DSL이 뭔지 알아보고 기존 Groovy DSL을 통해 의존성 관리하던걸 Kotlin DSL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을 해보도록 하겠다. # Kotlin DSL란? 우선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도대체 Kotlin DSL이 뭔지를 알아야 좀 더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이녀석이 뭔지를 알아보자! DSL은 Domain Specific Language의 약자로 특정 분야에 국한해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한다. Kotlin DSL은 Gradle, Android, SQL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. 특히 Android 의존성을 관리할때 Groovy DSL를 사용했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4.2(Arctic Fox), 2023-04월부터 Groovy DSL가 아니라 Kotlin DSL.. 2023. 10. 29.
[Android-Compose] 안드로이드 컴포즈 rememberLauncherForActivityResult(registerForActivityResult)사용법 이번 포스팅은 XML에서 액티비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registerForActivityResult를 Compose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겠다! 만약 프로젝트 구성을 Compose Only면 필요 없을지도 모르지만 XML + Compose을 혼합해서 사용한다면 Compose -> Acltitly -> 원래 Compose로 데이터를 전달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. 이럴 경우 어떤 식으로 해결하는지 아래 예제로 알아보자! # 사용법 공식 문서에서 보면 이미지를 가져오는 예제가 있다. 보통 예제는 권한을 확인하거나 공식 문서처럼 이미지를 가져오는 예제이다. 여기서는 간단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예제를 할 것이다. 예제의 순서를 설명하자면 1. Composable 함수인 A Screen에서 Act.. 2023. 9. 27.
[React] 리액트 컴포넌트에 값 전달하기 - 프로퍼티(Props) 사용) 오늘의 공부 노트는 React에서 컴포넌트에 값을 전달해야 할 일이 무조건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는 어떤 식으로 전달하는지 알아보자! # 프로퍼티(Props)란? - properties의 줄임말이다. - 상위 컴포넌트가 하위 컴포넌트에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 즉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갖는다. - 프로퍼티는 하위 컴포넌트에서 수정이 불가하다. 우선 개념적 정의를 알아봤으니 이제 사용방법을 알아보자! # 사용법 시나리오 - 버튼을 생성해주는 컴포넌트가 있고 버튼의 text, fontColor, onClick 이벤트를 프로퍼티로 넘겨주고 설정해 주는 시나리오이다. 우선 프로퍼티가 없이 구현한 코드를 먼저 살펴보자! function CustomButton(){ return 버튼이다! } function App.. 2023. 9. 6.
[Android-Compose] 안드로이드 컴포즈 스크롤 중 탭 고정 스티키 헤더(stickyHeader) 사용법 이번 공부해 볼 내용은 아래 영상과 같이 스크롤중 탭, text 등 고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. 처음에는 구현할때 어떤 식으로 검색해야 할지 몰라서 헤맸다. 그래서 나 처럼 헤매지 말라고 이 글의 제목을 풀어서 적어봤다. 오늘 할 예제는 아래 영상과 같이 메뉴판을 예를 들어 각 음식의 종류가 헤더가 되어서 스크롤 시 고정되는 간단한 예제를 해보도록 하겠다. # stickyHeader 우선 컴포즈에서 위와 같이 스크롤시 고정된 헤더를 구현하려면 LazyColumn의 stickyHeader를 사용해야한다. 아래 공식문서에서도 stickyHeader를 사용하여 구현하라고 한다. 한 가지 참고할 점이 있다면 아직 실험용이라서 공식문서에서는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. 그래서 사용 시 @OptIn(Exp.. 2023. 8. 27.